ABOUT ME

Today
Yesterday
Total
  • 월배당 ETETF 주식배당금 월급쟁이
    카테고리 없음 2022. 4. 20. 10:07

     

    배당금 투자로 월 200정도 하는 생활을 생각해본 적이 있다 산술적으로 5% 정도의 배당금을 받는다고 생각해 보면, 5억 정도는 주식을 가지고 있으면,

    배당금으로서 ⑤급여가 가능하다. 문제는 그 돈이라면 다른 부동산 투자를 하기 때문에 여유자금이 많은 사람을 제외하고는 주식에 배당금을 위해 그만큼의 돈을 투자하는 사람이 드물다는 점이다.

    따라서 배당주 투자는 나중에 할 생각보다는 20대 때부터 월급의 일정 금액을 배당주로 투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매달 급여 받는/월 배당 한국 ETF 시장, 아니 주식시장 자체가 역사가 짧아 기업의 이익을 주주에게 돌려준다는 개념 자체가 희박한 기업이 많다. 미국 시장으로 눈을 돌리자.매월 배당금 지급을 받을 수 있는 ETF가 있다.

    1. QYLD

    22달러와 25달러 사이를 왔다 갔다 하지만 배당용 ETF이기 때문에 큰 의미가 없다.QYLD는 미국 나스닥100지수옵션을 투자하는 월불식 ETF다.

    거의 10%가 넘는 월 배당을 받는다.

    2. SDIV

    22달러에서 13달러까지 떨어졌다. 지금이 살 기회인가, 아니면 이런 개 잡주를 외칠 것인가.SDIV는 세계의 배당수익률이 높은 100개 종목에 투자하는 ETF다. 나라면 이것을 가늠하겠다.

    월 배당 수익률은 7.47%로 국내 어떤 금융상품보다 좋지만 수익률을 밑도는 주가가 문제다.

    3.PHK

    하이일드 채권 및 배당 증권등에 투자하는 ETF이다. 이 친구도 주가가 문제다.우하향 주가가 그리 매력적이지 않다.

    배당 수익률은 9%대다.

    4) KBWY

    중소형 리츠에 집중 투자하는 방식의 ETF다. 위에서 본 ETF와 같이, 주가는 현시점에서는 좋지 않다.

    이런 상품의 경우 1~3년 투자 시 아무리 배당을 받아도 손실의 위험이 있다는 점이다. 항상 명심하자. 투자는 자기 돈으로 해야 한다. 그리고 배당주는 주가에 일희일비보다는 주식수를 끌어모아 간다는 의미로 접근해야 지치지 않을 수 있다.

    배당 수익률보다는 지속성, 얼마나 오랫동안 배당을 해왔으며 앞으로 가능한지를 봐야 한다.

    분기배당위에서 매달 받을 수 있는 미국 ETF의 월배당을 조사했으면 분기배당을 통해 월배당을 만드는 방법도 있다.분기점이란 3개월씩 4회, 총 4개 분기점이 모여 1년을 말한다.

    미국 주식을 보연 1월 배당을 주는 분기배당 주식, 2월 분기 배당을 하는 주식, 3월 분기 배당을 하는 주식 등 3종류로 나눠 월 배당을 만들 수 있다.

    1, 4, 7, 10 배당을 하는 미국 주식은 에디슨인터내셔널 시스코 jp모건 알토리아그룹 등이 유명하다.2, 5, 8, 11배당 종목은 버라이즌, AT&P, MPLX, P&G 등이 있다.3, 6, 9, 12배당 종목은 존슨 맥도널드 화이자 3M IBM 등이 있다.

    국내 분기 배당은 유명한 삼성전자를 필두로 여러 곳이 있지만 2% 수준에서 언급하는 것 자체가 필요 없는 것이다.배당세금 금융소득에는 세금이 있다. 연간 2000만원을 넘을 때 종합소득세에 합산해 과세가 들어간다. ᅵᅡ 이하인 경우 배당소득세로 15.4%가 부과되는데, 이상이면 그보다 더 많은 금액을 지불해야 한다는 것이다.

    해외 주식도 15.4%의 세금을 원천징수한다. 다만 해외 현지세율이 내국세율보다 낮을 경우 국내에서 차액을 추가 납부해야 한다는 &%.*&**&&%@

    TRETF에 의한 절세

    국내 ETF에는 상기의 사진의 여하에 ETF 상품에 TR가 붙어 있는 것이 있습니다. TR의 의미가 Total Return의 약자에요. 이익을 바로 나누지 않고 재투자하는 것이죠.

    삼성전자로부터 배당금을 받는 것을 생각해 보면 배당세금을 받은 후 다시 개인이 그 돈으로 투자를 한다고 가정할 때,

    TRETF를 통해 삼성전자 관련 ETF를 투자하면 배당세금을 지급받기 전에 다시 재투자가 자동으로 이뤄진다는 것입니다. 물론 언젠가 돈을 꺼낼 때는 한번 세금을 내겠죠.

    국내외 배당금 투자를 어떻게 하면 좋을지, 저는 어떤 형태의 배당금을 연금처럼 받을 수 있을지 생각해 보았습니다.

    ETF 투자를 하고 싶은가, 아니면 분기 배당 종목을 모으고 싶은가. 아니면 다 시작하고 싶은지

    또 여기서 나눕니다. 국내를 하든지 해외를 하든지 모두 하든지. 선택은

Designed by Tistory.